비트코인(BTC)이 최근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를 넘으며 신고가에 근접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암호화폐 지수도 반등하는 계기가 되었다. 기관투자자 및 기업 자금의 유입이 급증하며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 상황이다.
11일(현지시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코인베이스에서 최고 12만 2,319달러(약 1억 6,982만 원)까지 상승했다. 이는 지난 7월 중순에 기록한 역대 최고가인 12만 3,091달러(약 1억 7,112만 원)에 근접한 수치다. 온체인 분석가인 마르툰(Maartunn)은 이번 급등의 배경에 대해 “시장에 갑작스러운 수요가 발생하며 비트코인이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가격이 급등한 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가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투자자들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마르툰은 “비트코인이 급등할 때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가 빨간색으로 빠르게 변화했다”며, “이것은 단기적으로 매수세가 집중되었다가 이탈하는 ‘코인베이스 펌프 앤 덤프’ 시나리오로 해석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코인베이스 프로의 미국 달러 거래쌍과 바이낸스의 테더(USDT) 거래쌍 간 가격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며, 이는 미국 시장 내 비트코인 수요와 심리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또한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경계 신호가 포착되었다. CME 비트코인 선물은 지난 금요일 종가인 11만 7,430달러(약 1억 6,373만 원)에서 마감된 반면, 월요일 시가는 11만 9,000달러(약 1억 6,491만 원)로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이 시가와 종가 간의 차이가 ‘CME 갭’이라고 부르며, 갭을 메우기 위한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2만 1,596달러(약 1억 6,899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향후 사상 최고가 갱신과 함께 추가 조정 간의 방향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의 하락과 CME 갭과 같은 기술적 지표를 감안하면 단기 매수세의 유입 후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이 12만 2,000달러를 돌파하며 신고가에 근접하는 사상 초유의 상황에서, 기관과 개인 투자자 모두 긴장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인지, 아니면 ‘펌핑’에 따른 변동성이 나타날 것인지 주의 깊게 지켜볼 시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