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2만 5,000달러 돌파 시 14만 1,000달러 달성 가능성 분석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이 12만 5,000달러를 넘어서면 14만 1,000달러(약 1억 9,599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의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현재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에서 12만 5,000달러(약 1억 7,375만 원) 사이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간을 탈출할 경우 강한 상방 시세가 전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특히 이번 분석에서 주요 지표로 주목받는 것은 단기 보유자 지출 기준인 STH(Short-Term Holder) 비용 기준가다. 현재 이 수치는 약 10만 5,400달러(약 1억 4,626만 원)에 위치해 있으며, 단기 시장 흐름의 지지 또는 저항선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보고서는 12만 5,100달러(약 1억 7,389만 원) 지점을 ‘매물 과열 구간’으로 지칭하며, 이 구간에서 반복적인 저항을 받으면서突破되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구간을 돌파할 경우 STH+2 밴드에 해당하는 약 14만 1,600달러(약 1억 9,694만 원)까지 상승할 여력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 보고서는 지난 주말 대규모 비트코인 매도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스트레스 테스트’를 견뎌냈음을 강조했다.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 소속 장기 보유자의 비트코인 약 96억 달러(약 13조 3,440억 원) 매도가 있었으나, 가격은 잠시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로 하락한 후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로 빠르게 회복해 시장의 유동성을 재입증했다.

또한, 당일 발생한 실현 손익(Net Realized P/L)은 37억 달러(약 5조 1,430억 원)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순이익 기준으로 손실 대비 571배 차이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거래일 중 1.5%에 해당하는 압도적인 수치로, 고수익 실현 이후 일시적인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단기 고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것이라는 설명이 뒤따랐다.

장기 보유자의 실현 손익도 최대치인 25억 달러(약 3조 4,750억 원)에 도달하며 강한 수익 실현 흐름이 관측됐다. 이는 일부 자산이 해당 가격 구간에서 시장으로 재분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보유량의 97% 이상이 평가이익 상태로, 총 미실현 이익 규모는 1조 4,000억 달러(약 1,946조 원)를 초과하고 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 내 장기 보유자의 지분은 약 53%로 유지를 하며, 이는 더 높은 가격대에서의 추가 매도 물량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단기 보유자의 평균 매입가는 11만~11만 7,000달러(약 1억 5,290만~1억 6,263만 원)로, 이 가격대는 단기 지지선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이 12만 5,000달러를 확실히 돌파하고 안정적으로 이 자리에서 머물러야 하며, 그전까지는 기존의 박스형 구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시장 분석가들의 견해다. 비트코인이 주목받는 시장의 열기를 잃지 않으려면 핵심 저항선인 12만 5,000달러를 넘는 것이 급선무라는 메시지가 강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