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3% 급락, 지정학적 불안에 따라 암호화폐 시가총액 973조 증발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및 암호화폐 시장이 이번 주 심각한 조정세를 겪으며 시가총액에서 약 7,000억 달러(약 973조 원)가 사라졌다. 비트코인은 일주일 동안 13% 넘게 하락해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로 밀려났고, 주요 알트코인들도 두 자릿수의 낙폭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공포를 극대화했다.

이번 급락의 기폭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對)중국 발언이었다. 지난 주말, 그는 중국 정부를 향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경고를 했다. 이 발언은 시장에 즉각적인 충격을 주었고, 비트코인은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에서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 밑으로 급락했다. 이 와중에 과도한 레버리지 포지션들이 연쇄 청산되면서 불과 몇 시간 만에 190억 달러(약 26조 4,100억 원)가 증발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청산 액수가 실제보다 부풀려졌다고 주장하지만, 시장에 미친 영향은 분명했다.

이번 폭락은 비트코인만이 아니라 다양한 알트코인들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도지코인(DOGE), 에이다(ADA), 체인링크(LINK)는 각각 약 27%, 25%, 27% 하락했으며, 스텔라루멘(XLM), 하이프(HYPE) 등 다른 여러 프로젝트도 20% 이상의 낙폭을 보였다.

주 초반 잠시 반등세를 보였던 비트코인은 11만 6,000달러(약 1억 6,104만 원)까지 상승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이 시작된 이후 다시 하락하여 10만 8,500달러(약 1억 5,082만 원)로 내려갔다. 이 회담 소식은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하루 만에 6억 달러(약 8,340억 원)의 추가 청산을 초래했다.

한편, 주 후반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는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잠시 반등을 시도했으나, 현재 비트코인은 다시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 근처에서 불안한 등락을 보이고 있다. 시장은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 방향성을 잃은 상태이다.

암호화폐 공포·탐욕 지수 또한 급격히 변동하여, 지난주 60을 넘었던 탐욕 지수가 현재 25 이하로 추락했다. 이는 시장이 ‘극도의 공포’ 상태에 진입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하강세 속에서도 기업들의 암호화폐 매집 움직임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리플랩스는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규모의 XRP 재무기금을 위한 SPAC을 통한 자금 조달을 추진 중이며, 최근 대부분의 이더리움(ETH) 기관 보유량이 구매되었다는 데이터도 확인됐다. 일부 기관은 이번 조정을 매수 기회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리서치 기업 글래스노드는 이번 급락을 “시장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필연적 과정”으로 평가하며, 과도한 레버리지를 청산하고 건전한 거래 환경을 복원하는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비트코인 비판론자인 피터 시프는 이번 가격 하락을 두고 ‘비트코인의 디지털 금 지위는 허황된 신화’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그의 말은 이번과 같은 극단적인 가격 하락 시기에 시장의 불안을 더욱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