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4만 4,000달러 돌파 전망…금리 변수에도 상승세 지속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다음 주요 저항선으로 14만 4,000달러(약 2억 61만 원)의 돌파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예상치를 초과함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하락 압력이 가해졌으나, 중장기적인 상승 여력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 유효하다.

14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한때 12만 4,533달러(약 1억 7,308만 원)까지 상승한 뒤 소폭 조정되며 11만 7,741달러(약 1억 6,353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하루 전 저점인 11만 6,859달러(약 1억 6,231만 원) 대비 소폭 반등한 수치이다. 물가 지표 발표 이후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다소 흔들렸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여전히 비트코인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단기 보유자의 평균 매수 단가는 현재 10만 7,000달러(약 1억 4,873만 원)로 산정되고 있다. 이 가격은 단기 지지선 역할을 하며, 시장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폭발적인 상승 전환 여부를 가늠하는 핵심 지점은 +1 표준편차 구간인 12만 7,000달러(약 1억 7,653만 원)이다. 이 구간을 돌파할 경우, 과거에 강한 매도세가 형성되었던 +2 표준편차인 14만 4,000달러의 돌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이 고점 구간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앞으로 추가 상승의 여지를 내포하고 있다.

금리 정책과 관련하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태도 변화도 향후 비트코인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카고 연준의 오스탄 굴스비(Austan Goolsbee) 총재는 물가 지표의 혼재된 경향을 인지하며,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8월 21일부터 개최될 예정인 잭슨홀 심포지엄에서는 연준이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은 이에 대해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시장에서는 오는 9월 기준금리를 4.25%에서 4.50%로 0.25%포인트 낮출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지만, 이후 추가 인하에 대한 확신은 낮아지는 분위기다. 10월에 또 한 번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55%, 12월에는 43%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금리 불확실성 속에서도 비트코인이 단기간의 조정을 통해 숨고르기를 마친 뒤 주요 저항선 돌파를 시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온체인 지표와 거시경제 변수들을 함께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여전히 유효하며, 그 방향성과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