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최근 2% 하락하며 현재 약 10만 3,500달러(약 1억 3,535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술적 분석을 바탕으로 하락 국면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365일 이동평균선에 대한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365일 이동평균선은 과거 비트코인 사이클에서 주요 반등의 시작점을 제시했던 지표로, 이번에도 가격이 이 선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따라 향후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온체인 분석가 사토시 스태커는 “과거 상승장에서는 비트코인이 이 선을 바닥 삼아 각각 약 190%, 124%, 65%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2022년 중반 이 지표를 하회했을 때는 약 66% 까지 급락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에도 이 지표를 하향 이탈할 경우 유사한 하락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시장 사이클 측면에서도 하락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여러 정황이 존재한다.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는 비트코인 사이클의 진행이 과거 2015~2018년, 2018~2022년 구간과 유사할 경우, 2025년 10월이 고점이 될 것이며 현재 하락 사이클이 이미 시작되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바닥은 2026년 10월경, 3만 8,000달러에서 5만 달러(약 4,000만~5,000만 원)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 기술지표 역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의 단기·장기 이동평균선이 ‘데드 크로스’(Death Cross)를 앞두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하락 신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번 사이클에서는 데드 크로스 이후 오히려 상승 전환을 알리는 ‘골든 크로스’가 뒤따르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지표의 예측력에 의문을 품는 의견도 존재한다.
한편, 조 바이든 행정부에 맞선 트럼프 대통령의 부양책 발표가 최근 단기 상승을 이끌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민 일부에게 2,000달러(약 270만 원)의 ‘배당’ 지급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위험 자산이 급락 후 반등했지만, 시장은 비트코인이 강한 저항선인 10만 7,000~11만 8,000달러(약 1억 4,238만~1억 5,646만 원)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크립토포테이토는 이 구간에서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세와 거시적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상승 모멘텀을 제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시장 분석가, 온체인 데이터 및 가격 지표 모두 비트코인이 현재 중요한 분기점에 진입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365일 평균선을 이탈할 경우, 보다 깊은 조정 흐름이 나타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현재 비트코인의 움직임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