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4년 주기 종료? 전문가들 새로운 시장 구조에 주목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시장의 전통적인 비트코인(BTC) 반감기를 중심으로 한 4년 주기 상승·하락 사이클이 이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 투자자와 업계 전문가들은 기존 사이클이 이미 끝났거나 끝나가는 중이라는 진단을 내리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자이자 작가인 제이슨 윌리엄스(Jason Williams)는 최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상위 100개 비트코인 보유 기업이 보유한 물량이 거의 100만 BTC에 달한다”며,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 4년 주기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시세로 환산하면 100만 BTC는 약 9천 9백만 달러(약 1조 3,761억 원)에 해당한다.

윌리엄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전문가 중 한 명은 비트와이즈 자산운용(Bitwise Asset Management)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튜 후건(Matthew Hougan)이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2026년에 실제 양호한 수익률이 나와야 공식적으로 끝났다고 할 수 있지만, 나올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4년 주기는 사실상 종료됐다고 본다”고 밝혔다. 후건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도 비슷한 맥락의 주장을 해왔다.

과거 세 번의 비트코인 시장 주기에서는 가격이 항상 반감기 이후 1년 후에 최고점을 기록하는 패턴이 있었다. 이는 2013년, 2017년, 2021년 연도에서 꾸준히 나타났으며, 다음 예상 정점은 2025년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기관 투자자의 본격적인 유입과 새로운 거시 경제 환경, 이전 트럼프 대통령의 친 크립토 정책 등이 결합하면서 기존 사이클을 부정하는 신호가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시장 변화가 반복되는 사이클을 넘어 새로운 가격 형성 메커니즘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한다. 더 이상 전통적인 주기 모델이 시장을 지배하지 않고, 다양한 경제적 요소와 규제 정책, 대규모 투자자의 보유량 등이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게 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 점차 성숙한 자산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는 이제 막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들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보다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앞으로의 시장 전망을 재조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발전과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