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은 89,000달러(약 1억 1,730만 원)로 7개월 최저치를 기록한 후, 현재 91,500달러(약 1억 2,045만 원) 수준으로 반등하며 시장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반등은 지난 주말에 발견된 강한 매도세 이후 나타났으며, 알트코인들 역시 일부 가격 상승을 경험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10월 초부터 시작된 하락세가 11월에 접어들면서 더욱 심화되어 세 자릿수 선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주에는 107,000달러(약 1억 4,070만 원)로 일시적으로 상승했으나, 그 이후 급격한 조정이 뒤따르며 90,000달러(약 1억 1,700만 원)를 한 차례 붕괴한 뒤 89,000달러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90,000달러의 지지선을 다시 회복하며 현재는 일시적으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1조 8,300억 달러(약 2,409조 원)로 집계되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 지배력은 56.6%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시장 전반에 대한 비트코인의 지배력을 반영하고 있다.
알트코인 시장에서는 자캐시(ZEC)가 9% 이상 상승하며 620달러(약 81만 원)로 거래되고 있으며, 크로노스(CRO)도 7%의 상승폭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WBT의 급등으로, 이 코인은 18% 상승하며 60달러(약 7만 8,000원)로 도달하였다. 스타크넷(STRK) 또한 24% 급등하며 시가총액 상위 100위권에 다시 진입하였다.
그러나 일부 알트코인은 하이퍼리퀴드(HYPE)와 모네로(XMR)가 각각 6~7% 하락하는 등 반대의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의 불안정을 증명하고 있다. 주요 코인인 이더리움(ETH), 도지코인(DOGE), 솔라나(SOL), 비트코인캐시(BCH), 바이낸스코인(BNB) 등은 소폭 상승세를 보였으나, 에이다(ADA), 체인링크(LINK), 트론(TRX), 리플(XRP) 같은 일부 코인은 미세한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번 반등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방향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일일 시가총액은 200억 달러(약 26조 2,000억 원)가 증가해 3조 2,200억 달러(약 4,236조 원) 수준으로 회복된 바이다.
단기적으로는 비트코인이 90,000달러 지지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 그리고 알트코인들의 개별적인 급등세가 향후 시장 반전의 신호탄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동반 상승세는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 가능성을 시사하는 주요한 요소로 남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