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8만 달러(약 1억 800만 원) 지지선을 방어하며 반등을 시도 중이지만, 9만 6,000달러(약 1억 2,960만 원) 구간의 저항을 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장의 기술적 분석과 온체인 데이터 모두가 비트코인이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트코인은 장기적인 강세 영역에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 반등 폭이 제한적이다. 최근 100일과 200일 이동평균선 간의 ‘데드 크로스’ 발생으로 인해 기술적 차트에서는 지속적인 약세 흐름으로의 전환 신호가 포착되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가격이 10만~10만 4,000달러(약 1억 3,500만 원~1억 4,040만 원)를 회복하기 전까지 본격적인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다.
일간 차트에서는 최근 비트코인이 8만 달러로 하락하며 이전 저점 부근의 유동성을 흡수함에 따라 일부 매수세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반등 폭은 여전히 제한적이고, 9만 2,000~9만 6,000달러(약 1억 2,420만 원~1억 2,960만 원) 구간의 매도 압력대를 돌파하지 못한다면 이는 단기 반등에 불과한 기술적 조정으로 간주해야 한다. 만약 비트코인이 9만 6,000달러 이상에서 안정세를 보인다면 10만 달러를 테스트할 가능성도 남아 있지만, 저항선을 넘지 못할 경우 다시 8만~8만 3,000달러(약 1억 800만 원~1억 1,190만 원) 구간으로 밀릴 가능성도 존재한다.
4시간 차트에서도 비트코인의 하락 추세선은 여전히 유효한 상태이며, 가격이 지속적으로 낮은 고점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의 반등 또한 피보나치 0.5~0.618 구간에서 힘을 잃어가며 장기적인 하락 추세 속에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승 추세로의 전환은 가격이 명확하게 9만~9만 2,000달러를 돌파해야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저항선에서 다시 하락한다면, 8만 3,000~8만 6,000달러(약 1억 1,190만 원~1억 1,610만 원) 구간으로의 재조정이 예상된다.
온체인 지표인 비트코인 바이너리 CDD는 장기 보유자들의 강력한 ‘수익 실현’ 움직임을 보여준다. 과거에도 여러 차례 고점에서 숙련된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매도한 패턴이 반복된 바 있으며, 이번 사이클에서도 유사한 행보가 관찰된다. 이러한 매도는 시장이 본격적으로 하락세로 접어들기 전부터 나타나 투자자 심리의 선행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단기 보유자들은 최근 손실을 감수하며 매도에 나서며 강한 투항(Capitulation)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SOPR 지표가 1.0 이하로 지속하며 손해를 본 매도 비중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조정 국면의 막바지에서 나타나는 패턴으로, 전체 시장이 일시적인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시장의 추세 전환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만약 8만~8만 3,000달러 구간이 계속해서 방어된다면 새로운 ‘매집 국면’이 본격 진행될 수 있다. 반면, 이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마지막 하락장이 한 번 더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전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