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현재 8만 9,000달러(약 1억 3,083만 원) 근처에서 매도 압박에 직면해 있지만,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시장이 주요 저항선에 근접한 상황에서도 매수세는 크게 줄어들지 않아, 단기적으로 9만 3,500달러(약 1억 3,744만 원)까지 반등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여러 주요 알트코인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대다수는 고점 근처에서 매도 압력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과매도 구간에서 탈출하기 위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지만, 이러한 추세 반전의 가능성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다.
유명 트레이더 피터 브란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의 현재 상승세를 ‘데드캣 바운스’로 평가하며, 이는 하락장 속 일시적 반등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추가 하락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시장 참가자들에게 경계를 촉구했다.
반면, 네트워크 이코노미스트 티모시 피터슨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AI 기반 예측 도구를 인용해 비트코인이 올해 말까지 8만 4,500달러(약 1억 2,421만 원) 이하로 마감할 가능성이 15%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12월 31일까지 10만 달러(약 1억 4,700만 원)를 회복할 확률이 50% 미만이라고 언급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단기 기술적 반등과 장기적인 상승 전환 사이에서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으며, 하반기 비트코인의 가격 흐름은 거시 경제 지표, 미국 정치 변수, 기관 자금 유입 등 다양한 복합적 요인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단기 저항에 직면했지만 여전히 상승 여지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현재 반등 흐름이 지속될지에 대한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현재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단기 저항선을 돌파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고점 진입 전 재평가와 분할매수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 시장은 하반기 동안 다수의 외부 요인과 함께 복잡하게 얽힌 경제 상황 속에서 향후 가격 움직임을 지켜보아야 할 시점에 있다. 특히 투자자들은 ‘데드캣 바운스’의 함정을 피하기 위해 세심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