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ETF에서 1.1조 원 유출, 단일 거래일 기준 역대 두 번째 손실 기록

[email protected]



금요일, 미국 현지 시각으로 비트코인(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서 약 812.25백만 달러, 한화로는 약 1조 1,292억 원에 달하는 순유출이 발생하며 역사적으로 두 번째로 큰 일일 손실을 기록하였다. 이번 자금 이탈은 지난 일주일 동안의 지속적 유입 흐름을 완전히 뒤집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번 자금 유출로 인해 비트코인 현물 ETF의 누적 순유입 규모는 541.8억 달러, 즉 약 75조 2,082억 원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운용 자산 총액은 1,464.8억 달러, 한화로 약 203조 5,072억 원에 그쳤으며, 이는 비트코인 전체 시가총액의 약 6.46%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ETF별로 분석해보면, 피델리티의 FBTC가 가장 큰 자금 유출인 331.42백만 달러, 약 4,615억 원으로 손실을 입었다. 이어 아크인베스트의 ARKB도 327.93백만 달러, 즉 4,561억 원이 유출되었고, 그레이스케일의 GBTC는 66.79백만 달러, 약 930억 원을 잃었다. 반면, 블랙록의 IBIT는 2.58백만 달러, 즉 약 36억 원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손실을 보였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ETH) 현물 ETF도 강세가 꺾이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거래일 연속으로 자금을 유입하던 이더 ETF는 금요일에 152.26백만 달러, 약 2,117억 원 규모의 자금 유출을 기록하며 최장 유입 기록에 종지부를 찍었다. 현재 이더리움 ETF의 운용 자산은 201.1억 달러, 즉 약 27조 9,529억 원으로, 이는 이더리움 시가총액의 약 4.7%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의 대규모 자금 이탈은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조정 국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두 주요 기술 저항선 근처에서 상승세의 탄력을 잃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ETF 자금 흐름이 향후 가격 변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주목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ETF 투자 심리에 민감히 반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동조화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불안정한 흐름 속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새로운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반응을 면밀히 살펴보며,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