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BTC) 가격이 주요 지지선인 10만 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 아래로 하락하면서 미국 내 현물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에서 자금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동안 활발히 시장에 참여했던 기관 투자자들이 물러나면서 분위기가 다소 위축된 모습이다. 하지만 일부 ETF 상품은 여전히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26일(현지시간) 기준으로, 미국의 현물 비트코인 ETF에서는 하루 만에 총 2억 5,340만 달러(약 3천 5억 원)가 유출되었으며, 이번 주 전체 자금 유출 규모는 4억 8,000만 달러(약 6,672억 원)에 달하고 있다. 주 후반에 들어서는 손실 폭이 더욱 커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밤 늦게 4주 만에 저점인 10만 9,000달러로 하락했으며, 이달 초의 조정 저점인 10만 7,500달러(약 1억 4,933만 원)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ETF 자금 이탈 속에서도 블랙록의 IBIT는 예외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들은 이날 7,800만 달러(약 1,084억 원) 규모의 신규 자금을 유치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신뢰가 여전히 존재함을 입증하고 있다. 반면, 피델리티, 비트와이즈, ARK 21셰어스, 프랭클린, 반에크, 그레이스케일 등의 주요 경쟁사들은 자금이 일제히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블랙록은 최근 4주 동안 끊임없이 비트코인을 매입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자료에 따르면, 블랙록은 이번 주에만 1,900 BTC를 사들였고, 이전 3주 동안 각각 7,500 BTC, 9,100 BTC, 3,750 BTC를 순차적으로 매입했다. 이러한 지속적인 매입은 블랙록이 시장의 하락세 속에서도 비트코인을 장기적으로 보유할 것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하고 있다.
이더리움(ETH) 기반의 현물 ETF에서도 자금 유출이 발생했다. 하루 만에 2억 5,100만 달러(약 3,489억 원)의 유출이 있었으며, 최근 일주일 간 이더리움은 두 자릿수의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ETH 관련 ETF에서는 이번 주에 총 5억 4,700만 달러(약 7,607억 원)의 자금이 유출된 상황이다.
하지만 ETF 시장에서 긍정적인 뉴스도 존재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ETF 발행사인 반에크(VanEck) 간의 논의가 ‘ETF 토큰화’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더리움에게 긍정적인 자극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이더리움은 실제 자산 기반 토큰화(RWA)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또한, ETF 시장에는 새로운 상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번 주에는 REX-오스프리(REX-Osprey)가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를 출시했으며, 비트와이즈는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ETF에 대한 신청을 마쳤다. 최근 SEC로부터 승인을 받은 해시덱스(Hashdex)의 나스닥 크립토 인덱스 ETF 또한 새로운 상장 기준 아래에서 상장됐다.
이와 함께 블랙록은 새로운 전략 상품인 ‘iShares Bitcoin Premium ETF’의 명칭을 등록하며 비트코인 중심의 추가 상품 출시에 대한 기대감을 증대시키고 있다. 해당 상품은 커버드콜(Covered Call) 구조를 채택하여 안정적인 BTC 수익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ETF 시장 전반에 불안정한 흐름이 있기는 하나, 업계의 주요 선수들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SEC와의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