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비트코인(BTC) ETF로의 자금 유입이 급증하면서,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 ETF에서는 대규모 자금 이탈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일주일 동안 비트코인 ETF에 약 8억 3,900만 달러(약 1조 1,117억 원)의 자금이 순유입된 반면, 금 ETF에서는 약 41억 달러(약 5조 4,370억 원)의 자금이 이탈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는 금의 가격 하락과 함께 안전 자산에서 디지털 자산으로 투자 선호가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금 가격은 지난주 고점이었던 온스당 4,381달러(약 580만 원)에서 무려 10.6% 하락하여 3,915달러(약 518만 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지난 4월 이후 일주일 기준으로 가장 큰 하락폭으로, 전문가들은 기술적 반등 가능성을 제시하며 과거 패턴에 기반해 가격이 약 8.3% 수준으로 회복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관심이 점점 더 비트코인으로 쏠리고 있는 점은 금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비트코인은 주요 지지선을 유지하며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연내 15만 달러(약 1억 9,875만 원)까지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는 대형 기관들이 ETF에 투자하고 있는 것과 광범위한 시장 수급 개선, 나아가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암호화폐 정책 등이 결합하여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금과 비트코인 모두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지만, 최근의 시장 흐름은 디지털 금으로 알려진 비트코인이 전통적인 자산과는 다른 독특한 수요를 받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비트코인 ETF의 출현은 투자 비중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위험분산 및 자산 배분 전략에 중요 변수가 될 것이다. 이러한 변동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최적의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에 처해 있으며, 비트코인이 제공하는 새로운 기회를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