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공식 승인함에 따라, 디지털 자산 시장의 제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한국형 ETF-STO 모델’ 개발이 절실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해 1월 블랙록, 피델리티, 인베스코 등 주요 자산운용사를 포함한 총 11개의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을 승인하였다. 이는 일반 개인 투자자 영역에 국한되었던 암호화폐가 이제는 기관 투자자도 참여할 수 있는 제도권 금융상품으로 진입한 상징적인 사례로, ETF 거래 첫날의 거래 규모는 약 6조 원에 달하며, 1분기 자금 순유입액은 120억 달러(약 16조 원)에 이르렀다.
미국은 ETF와 디지털 자산 수탁기관, 나스닥 및 CME 거래소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ETF-커스터디-거래’라는 삼각축을 강화해왔다. 이러한 법적 감독 체계는 자산 신뢰도를 높이며, 세계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미국의 위상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자본시장법상 가상자산이 기초자산으로 인정되지 않아, 디지털 자산 기반 ETF의 출시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 결과 개인 투자자는 코인거래소를 통한 직접 투자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으며, 이조차도 가격 변동성, 시세조작, 해킹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알트코인 위주의 국내 시장은 디폴트나 기술 검증 미흡으로 인해 투자자 보호가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받고 있는 해결책이 바로 STO, 즉 증권형 토큰 발행이다. STO는 부동산, 지식재산권(IP), 탄소배출권 등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토큰화해 안정적인 기초자산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 경우 투자자는 투기성이 짙은 알트코인이 아닌 실제 자산에 기반한 투자상품에 접근할 수 있어, 신뢰성과 규제 친화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강점인 K-컬처 자산을 STO로 토큰화하여 ETF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구체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 웹툰, 게임의 저작권, 지역 관광자산, 테마 음악 등의 문화자산을 토큰으로 발행함으로써 수도권에 집중된 자본 흐름을 분산시키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문화 산업 성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팬들도 단순 소비자를 넘어서 공동 투자자이자 자산 소유자로 변모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한국은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제도 도입을 넘어, 국산화된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한국의 문화와 지역 산업, 법제 기반 STO와 금융 기술을 결합하여 독자적인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디지털 자산 경쟁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