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ETF 승인으로 암호화폐 지수 펀드와 ETF의 패시브 투자 트렌드 확산

[email protected]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2024년 1월 11개의 현물 비트코인 ETF를 승인함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번 승인은 블랙록, 그레이스케일, ARK 인베스트와 같은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이루어졌으며, 이는 제도권 투자자들이 규제된 경로를 통해 비트코인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결과적으로 기관 자금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어, 향후 ETF 기반 암호화폐 상품의 확장이 예고되고 있다.

비트코인 ETF의 승인은 암호화폐 지수 펀드 및 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높였다. 전통적인 뮤추얼 펀드와 유사한 형태인 암호화폐 지수 펀드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또는 20개 코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펀드는 주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하여 시장 흐름을 반영하며, 단일 종목에 대한 선택 부담을 줄이고 전체 시장 움직임에 맞춰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암호화폐 지수 펀드와 ETF는 패시브 투자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매매 과정을 피하고 폭넓은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투자자는 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등 주요 암호화폐의 시장 가격 상승에 따른 캐피털 게인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킹이 가능한 자산을 포함한 경우 추가 보상도 얻을 수 있으며, 탈중앙화 지수 토큰의 경우 DeFi 예치 수익이 더해질 수 있다.

ETF의 경우 기존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구조로, 특정 코인 묶음을 추종하거나 특정 암호화폐의 성과를 따르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예로 ProShares의 비트코인 ETF BITO가 있으며, 이와 같은 ETF들은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정기적인 수익 분배를 제공하는 제품들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략이 혼합된 상품들은 투자자의 성향이나 리스크 허용 범위를 고려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2025년 기준으로 비트와이즈(Bitwise)의 BITW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코인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지수 펀드로 평가되고 있다. 이 펀드는 매월 포트폴리오를 조정하여 시장 흐름을 반영하며, 일반 증권 계좌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기관투자자와 일반 투자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자리잡고 있다.

패시브 투자의 장점은 단순히 수익 측면에 국한되지 않는다. 분산 투자로 인한 리스크 관리, 감정적인 매매를 줄이는 전략적 안정성, 그리고 복잡한 지갑 설정이나 온체인 활동 없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함이 긴 시간을 두고 투자할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품들에도 시장 변동성, 스마트 계약의 보안성, 그리고 수수료 구조 등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리스크 요소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지수 펀드와 ETF는 ‘선택과 집중’보다는 ‘전략적 분산’과 ‘지속적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최적화된 도구로 여겨진다. 이러한 상품들은 크립토 시장의 기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리스크를 통제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