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평가 모델인 스탁 투 플로우(Stock-to-Flow, S2F)가 이번 주기에서 비트코인의 가격 정점을 약 222,000달러(약 3억 886만 원)로 예측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이 모델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말 것을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투자사 비트와이즈(Bitwise)의 유럽 리서치 책임자인 안드레 드라고슈(André Dragosch)는 S2F 모델이 단순히 비트코인의 반감기만을 고려한 결과로 수요 요인은 완전히 배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이 모델이 시장의 현실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평가하며, 투자자들에게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대략 4년에 한 번씩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비트코인의 공급량은 반으로 줄어드는 구조다. S2F 모델은 이러한 공급 감소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축적된 자산에 비례해 향후 가격을 추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드라고슈는 현재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 투자 수요의 증가가 이 모델에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현재 비트코인 상장지수상품(ETP)과 기업의 재무 자산 편입을 통한 기관 투자 수요는 최근 반감기 이후 줄어든 공급량보다 7배 이상 크다”며, 공급보다 수요의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 분석은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제도권에서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현실의 복잡한 시장 구조를 단순한 공급 모델로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다시금 부각시키고 있다. S2F 모델을 사용할 때에는 시장 참여자들이 보다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리고 있다.
종합적으로, 비트코인 S2F 모델은 향후 가격 추정에 있어 주목할 요소 중 하나로 남아 있지만, 기관 수요와 같은 중요한 변수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유의해야 한다. 이번 경고는 복잡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보다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