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동안 수십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자산 청산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비트코인(BTC), 리플(XRP), 시바이누(SHIB)와 같은 주요 암호화폐들이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이며 급격한 하락 후 반등했다. 비트코인은 일시적으로 10만 600달러(약 1억 3,985만 원)로 떨어졌다가 11만 1,000달러(약 1억 5,429만 원) 선까지 회복하며 극적인 반등을 연출했다. 그런데 이 반등은 신규 매수세에 의해 추진된 것이 아니라 ‘기계적 디레버리징’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하락의 배경에는 미국이 중국에 100%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기술 수출을 제한함으로써 야기된 긴장이 있다. 이러한 조치는 세계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 과도한 불안을 가져왔다. 플랫폼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 따르면, 1,000개 이상의 계좌가 청산되었으며, 총 손실액은 12억 달러(약 1조 6,680억 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도 XRP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강한 신뢰가 유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올해 초 XRP의 700% 급등을 정확히 예측한 트레이더 ‘DonAlt’는 최근 43%의 급락에도 불구하고 보유분을 매도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일간 종가를 주시하고 구조가 깨지기 전까지는 유지하겠다”며 XRP 보유를 암시했고, 이는 부정적인 투자 심리가 취약한 시장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던졌다.
한편, 시바이누(SHIB)는 이번 폭락 사태에서 추가제로화(제로잉) 위기에 직면했으나, 기적적으로 가격 방어에 성공했다. SHIB는 일시적으로 $0.0000090 아래로 떨어져 손절매를 유도했지만, 하루 종가를 $0.000010 근처에서 형성하며 시장의 전환점을 이루었다. 투자자들은 $0.0000098을 지지선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만약 $0.0000105 이상에서 마감된다면 다음 저항 구간인 $0.0000113~$0.0000115까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향후 동향은 10만 9,000달러(약 1억 5,141만 원)에서 11만 1,000달러 구간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전문가들은 이 구간이 무너질 경우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 이하로 다시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반면, 11만 3,000달러(약 1억 5,707만 원) 이상에서 종가를 형성하면 중기 회복 국면으로의 진입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정책으로 인한 거시적 지정학적 이슈와 ETF 자금 유입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가라앉는다면 주요 자산들은 이번 급락장의 후폭풍에서 점차 벗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