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경기 침체 우려 가운데 하락세 지속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미국의 노동시장 지표가 예상을 하회하며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를 주었고,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암호화폐를 외면하고 국채나 금과 같은 안전 자산으로 돌아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날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비트코인은 한때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아래로 하락하며 불안감을 드러냈다.

시장 분석가들은 증가하는 금과 국채에 대한 수요가 경기 침체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높이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트코인이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 선에서 지지를 받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반면, 미국 주식 시장은 연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조기에 기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업 대출 비용이 감소하고 소비 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암호화폐는 이러한 금융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를 보기 어렵고, 오히려 실물 소비 및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현재 비트코인은 미국 증시와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구조적 변화가 새로운 투자 심리를 촉발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정 디지털 자산들이 S&P 500과 같은 대표 지수에 포함되거나 규제 당국의 투자 상품으로 발전하는 경우, 시장 참여자들의 태도가 변화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최근 비트코인의 하락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층과 정치적 불확실성 문제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일부 보수 성향의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법정 화폐의 대체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미국 대선 전개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가까운 시일 내에 비트코인이 확실한 반등 기회를 모색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의 시장은 위험 회피 심리가 지배하고 있어 단기적인 기술적 반등보다는 정책 발표 및 경제 지표와 같은 거시적 환경 변화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비트코인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우려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