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과 금의 상관관계가 첫 번째로 마이너스 구간으로 전환되면서, 이는 비트코인이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과의 관계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변화는 암호화폐와 거시경제 간의 흐름이 점차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크립토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애널리스트 마르툰(Maartunn)은 최근 발표한 포스팅에서 “비트코인과 금의 상관계수가 6개월 간의 상승세를 끝내고 마이너스 구간으로 진입했다”며 “이는 전통적 안전자산 내러티브에서 벗어나고 있는 명확한 신호”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금 가격은 온스당 3,500달러(약 4,865만 원)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10만 7,000달러(약 1억 4,873만 원)에서 반등한 후 11만 2,600달러(약 1억 5,651만 원)까지 상승했다가 현재는 11만 578달러(약 1억 4,922만 원)로 소폭 하락한 상황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특히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매크로 이벤트를 앞두고 나타나 더욱 주목받고 있다. 오는 9월 16~17일 예정된 연준의 금리 회의를 앞두고, 시장은 고용지표와 인플레이션 수치에 따라 향후 방침을 결정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9월 초 발표된 민간 신규 고용자 수는 예상을 크게 하회하며 5만 4,000명에 그쳤고, 실업수당 신규 청구 건수 또한 23만 7,000건으로 예상치를 웃도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지표들은 경기 둔화의 가능성을 높이며 금리 인하 기대감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 암호화폐 시장 역시 이러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하 확률이 97.4%에 달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독립적인 가격 흐름을 이어갈지 여부는 기관 자금의 유입, 미국 대선에서의 암호화폐 관련 이슈 등이 혼합되어 향후 가격의 방향성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비트코인에 대한 지지 메시지를 여러 차례 발송하며 새로운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분리 현상 시점에서 비트코인은 금융 자산으로서의 위상 전환의 이정표로 해석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금과 비트코인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했으나, 최근에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비트코인은 이제 기존의 ‘디지털 금’이라는 수식어를 넘어서 정책 및 경제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새로운 자산군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비트코인과 금의 관계가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투자 전략 또한 더욱 정교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