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금리 인하 기대감 속 11만 7,000달러 재돌파…4분기 강세 전망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가격이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다시 한번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를 기록하며 4주 최고치를 세웠다. 이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낙관적인 전망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위기는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매수세가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아시아 시간 기준으로 9월 18일 오전 11만 6,600달러(약 1억 6,211만 원)로 소폭 조정세를 보이고 있다. 전일 대비 약 1.5%, 주간으로는 약 5% 상승한 모습이다.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Fed의 금리 인하가 시장에 유동성을 주입하고 위험 자산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통화 정책의 완화는 비트코인과 같은 고위험 자산의 강세를 이끌 가능성이 크다.

유명 암호화폐 이코노미스트인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는 “금리 인하가 시장에 미리 반영됐더라도, 앞으로 주식과 비트코인 모두 강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라며 “비트코인이 보여주는 폭발적인 움직임을 간과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또한 ‘Ash Crypto’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분석가는 “금리가 계속 낮아지면 투자자들은 안전 자산인 국채에서 암호화폐로 자산을 옮길 것”이라며 “ETF 승인 및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부 정책, 명확한 규제 환경이 긍정적인 촉매가 된다면 4분기에는 비트코인이 포물선형 상승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암호화폐 트레이더인 사이코델릭(Sykodelic)은 과거 연준이 금리를 인하했을 때의 상황을 언급하며 “당시의 급등장이 현재와 매우 유사하다”며 “금리 인하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비트멕스 공동 창립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는 연준의 금리政策도 있지만, ‘세 번째 임무’라고 불리는 수익률 곡선 통제(Yield Curve Control, YCC)의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장기금리 억제를 시도할 경우 비트코인은 더 큰 혜택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금리 인하에 따른 달러 약세도 비트코인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올해 들어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12% 하락했으며, 비트코인을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보고 있는 관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달러 약세는 비트코인의 가치 상승 기대를 더욱 부추길 것이다.

펀드스트랫의 공동 창립자 톰 리(Tom Lee)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Fed의 금리 완화 복귀가 논의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신뢰를 되살리고 유동성 회복이 실질적 지표의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이 올해 마지막 분기에 모두 “상당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을 내비쳤다.

연준의 금리 결정 후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은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미 시장은 다음 단계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다. 기관 자금의 재유입으로 촉발될 대규모 사이클이 2025년을 마무리할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