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급격한 하락세에 이어 반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매수세가 둔화됨에 따라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지난주 파생상품 시장에서 약 137억 원 (약 2조 6,410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된 충격 이후 비트코인은 현재 115,000달러(약 1억 6,003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가 JA 마르툰(JA Maartunn)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117,500달러(약 1억 6,313만 원)에서 120,000달러(약 1억 6,680만 원) 구간에서 강한 저항에 직면해 있으며, 이로 인해 상승 모멘텀을 잃어버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의 분석에 의하면 주요 지지선은 110,900달러(약 1억 5,209만 원)에 형성되어 있으며, 최근 6주 동안 이 레벨이 세 차례 테스트되었다.
이번 하락세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중국 수출 규제 발언 후 촉발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 고조에 기인한다. 당시 비트코인은 122,000달러(약 1억 6,799만 원)에서 101,000달러(약 1억 4,039만 원)까지 급락하며 암호화폐 역사상 하루 최대 청산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중국 정부가 수출 제한 조치가 전면 금지 조치가 아님을 강조하면서 시장은 점차 안정세를 찾았다.
이러한 요인으로 비트코인은 11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에서 114,500달러(약 1억 5,923만 원)까지의 회복세를 보였으며, 이더리움(ETH) 역시 6% 상승하여 4,100달러(약 569만 원) 근처로 올라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르툰은 비트코인이 이번 주의 상승 돌파에 실패하며 2021년 11월의 하락 국면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 이는 투자 심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이어지는 지표라고 평가했다.
한편, UTXO 실현 가격 분포(URPD) 지표는 비트코인의 공급이 집중된 구간이 117,500달러에서 120,000달러 수준에 존재하고 있어 이 구간은 단기적으로 강력한 매도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하방 지지선은 95,000~97,500달러(약 1억 3,205만~1억 3,557만 원), 106,000달러(약 1억 4,734만 원), 그리고 111,200달러(약 1억 5,467만 원) 구간에서 확인되었다.
기술 분석가인 Rekt Capital은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을 유로하며, 비트코인이 114,300달러(약 1억 5,894만 원) 이상의 일간 종가를 기록한 점과 21주 지수이동평균선(EMA) 위에서 거래되고 있는 점을 상승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선물 차트에서 109,700~111,310달러(약 1억 5,219만~1억 5,695만 원) 구간의 갭이 메워졌고, 현재 115,690~116,865달러(약 1억 6,272만~1억 6,602만 원) 사이에 새로운 갭이 발생한 상태라고 전했다.
비트코인은 현재 24시간 기준으로 3% 상승했으나, 불과 열흘 전 기록한 사상 최고가인 126,000달러(약 1억 7,577만 원)와 비교하면 여전히 8.6% 낮은 수준이다. 지난 일주일 사이 약 7% 넘게 가치가 하락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