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지난 21일 급락하며 공포 지수 영역으로 내려앉았으나, 22일(현지시간) 시장이 다시 안정을 되찾고 투자 심리도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향후 높은 변동성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21일 미국 코인베이스 거래소에서 1만 1,235달러(약 1,563만 원)까지 하락하며 이달 고점인 1만 2,400달러(약 1,727만 원) 대비 약 10%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런 급락으로 인해 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는 2개월 만에 최저치인 44를 나타내며 투자 불안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하루 만에 반등하여 현재 1만 1,450달러(약 1,594만 원) 수준까지 회복했으며, 지수는 50으로 중립 구간에 진입했다.
온체인 분석기업 샌티멘트는 “예상대로 시장이 반등세에 진입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시장 심리가 군중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향후 FUD(공포·불확실성·의심)가 증가할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샌티멘트는 비트코인 외에도 테더(USDT), XRP, 에이다(ADA), 그리고 덜 알려진 밈코인 SNEK 등이 최근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고문이자 비트코인 기업가인 데이비드 베일리는 “비트코인의 투자 심리는 극단적으로 변동성을 띈다”며 “즉각적인 황홀감과 패닉이 번갈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감정 속에서 수많은 거래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단기적 흐름에 집착하지 말고 긴 안목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시장을 분석하는 시그널플러스의 어거스틴 판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 시장은 거시적 이슈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주요 가격대 근처에서 횡보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비트코인 보유 확대 계획 부정 발언이 투자자들에게 실망감을 줬다고 진단했다. 이후 베센트는 해당 발언을 완화하는 게시글을 올려 논란을 진정시키려 했다.
현재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24시간 동안 2% 상승하여 3조 9,600억 달러(약 5,504조 원)로 회복된 상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주말까지 급작스러운 시장 반전 가능성에 대해서 경고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오는 23일 예정된 미국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참석하는 잭슨홀 연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설은 역사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미쳐왔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보안 기업 비트고는 “파월 의장의 발언 태도에 따라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이 크게 출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투자자 제이슨 윌리엄스는 파월 의장이 예상보다 완화적인 입장을 취한다면 시장이 크게 반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CNBC의 트레이더 랜 뉴너는 트럼프가 금리 인하를 요구하고 있지만 파월 의장이 이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9월 17일 금리 인하 가능성은 82%로 집계되고 있으나 최근 이 수치는 감소하는 추세다. 따라서 이번 잭슨홀 회의는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