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은 최근 1BTC당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로 급락하며, 바이낸스에서는 15억 달러(약 2조 85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청산 사태가 발생했다. 이러한 급락은 개인 투자자들의 공포 매도로 인해 촉발된 것으로 분석되며,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 현상이 바닥 신호일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애널리스트인 암르 타하(Amr Taha)는 비트코인이 최근 3주간 금요일마다 급락세를 보였으며, 누적 순테이커 거래량이 -15억 달러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는 매도가 매수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음을 의미하며, 7,000달러 이상의 급락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강제 청산을 경험했다는 것이다. 타하는 “개인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고점에서 매수하고 저점에서 매도하는 경향이 있다”며, 현재 패턴이 반등의 전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거래소에서 펀딩비가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숏 포지션이 우세해지면서 시장 분위기도 악화되었다. 특히 바이낸스와 데리빗에서의 하락 베팅 신호는 개인 투자자들의 비관적인 심리를 반영하고 있으며, 미국의 고용 부진과 새로운 대중국 관세 정책, 그리고 2월 이후 가장 심각한 비트코인 현물 ETF 자금 유출이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대시켰다.
하지만 이런 변동성 속에서도 긍정적인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QCP 캐피털은 이번 하락장이 일종의 ‘세일’ 구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비트코인 옵션 시장에서는 8월 말까지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를 목표로 한 콜 스프레드 포지션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현재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대한 베팅이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현재 비트코인은 24시간 기준으로 0.6% 상승한 11만 4,396달러(약 1억 5,888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주간 기준으로는 3.9% 하락했으나 최저점 대비 반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QCP가 ‘매집 전 흔들기(shakeout)’라는 표현을 사용한 과거 패턴과 유사하다는 분석도 있다.
이더리움(ETH)은 3,400달러에서 3,550달러(약 495만 원)로 돌아서며 견고한 반등세를 보였고, 솔라나(SOL)는 여전히 주간 기준으로 15% 이상 하락세를 보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텔라루멘(XLM), 에테나(ENA), 해시(HASH) 등 일부 알트코인은 두 자릿수 반등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일요일 대비 600억 달러(약 83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시장에서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만약 비트코인이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를 강력하게 돌파할 경우 시장의 심리가 급변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감도 존재한다. QCP 측은 ETF 자금 유입이 정상화되고 펀딩비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올 경우, 현재의 하락 상황이 매수 타이밍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