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단기 조정 속에서도 강세 전망 유지…ETF 순유입 3조 원 넘어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은 11만 7,500달러(한화 약 1억 6,308만 원) 저항선의 돌파에 실패하면서 단기적인 차익 실현 매물이 발생, 현재 11만 5,000달러(한화 약 1억 5,985만 원) 아래로 하락한 상황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꺾였다고 보기에 이르다고 주장한다. 주요 기술 지표들은 매도세보다 매수세가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11만 3,400달러(한화 약 1억 5,763만 원) 이상을 유지한다면 비트코인은 여전히 강세론을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시장 분석업체 머티리얼 인디케이터(Material Indicators)의 공동 창립자 키스 앨런(Keith Alan)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12만 4,500달러(한화 약 1억 7,288만 원) 근처에서 아직 고점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강력한 기관 수요가 비트코인의 상승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물 ETF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은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SoSoValue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금요일 단 하루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에 6억 4,235만 달러(한화 약 8,919억 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를 통해 지난 주 동안의 총 순유입 규모는 23억 4,000만 달러(한화 약 3조 2,526억 원)에 달하게 되었다. 이는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매수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도 기관 자금이 몰리고 있다. 최근 주 기준으로 6억 3,768만 달러(한화 약 8,866억 원)가 유입되며 두 자릿수의 증가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치가 단기 조정 구간에서 매수 기회를 염두에 둔 기관 투자자들의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고 풀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 움직임은 일부 알트코인에서도 차익 실현 압력이 예상되지만, 저가 매수세의 유입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시장 전반의 매수 에너지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투자자들은 주요 지지선이 붕괴되지 않는 한 현재의 조정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강세 전망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앞으로도 강력한 기관 수요와 매수 기회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