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미국 고용 둔화와 연준 금리 인하 기대 속에 반등 시도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이 최근 미국의 고용 지표 발표 이후 반등에 나서며 단기적인 상승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노동시장이 예상보다 둔화됨에 따라 위험 자산,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변화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위험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감을 증대시키고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 7일(현지시간) 뉴욕 증시 개장과 동시에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선을 돌파하려는 시도를 보였으나 매도 압력에 맞아 단기 저항에 부딪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거래소인 바이낸스와 비트파이넥스에서는 저가 매수 세력이 유입되면서 투자자들의 심리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 특히 비트파이넥스에서는 대규모 매수 주문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며 강력한 지지선이 형성되는 추세가 뚜렷하게 감지되고 있다.

BTC 선물 시장에서도 포지션의 압축 해소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현재 가격대에서 공매도 차입 포지션이 누적되고 있어서 단기적으로 쇼트 스퀴즈 가능성도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BTC 주문서(Order Book) 데이터를 살펴보면 매수 측의 유동성이 매도 측보다 두터운 양상으로 나타나, 이러한 전망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이번 비트코인의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세 정책과 관련된 매도세 이후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정치권에서의 무역 기조 변화 가능성이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모양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비트코인은 단기적인 회복세에 접어들었는지는 아직 확신하기 이르지만, 저점에서의 매수세와 매수 호가의 강도는 시장 전환 가능성을 지지하는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비트코인의 11만 6,000달러 돌파 여부는 향후 일주일간의 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 레벨을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할 시점임에 틀림없다. 고용 둔화와 금리 인하 기대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