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 가격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반등하며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선을 회복했다. 이번 주 거래는 변동성이 심했지만, 다른 주요 암호화폐들과 함께 전체 시가총액도 3조 8,500억 달러(약 5,357조 원)로 돌아왔다.
지난 금요일, 비트코인은 11만 달러에서 10만 4,500달러(약 1억 4,515만 원) 아래로 급락하며 투자자들에게 우려를 안겼다. 그러나 주말 동안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0만 7,000달러(약 1억 4,873만 원)에서 안정세를 보였고, 화요일 저녁에는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도세가 다시 몰리면서 가격이 10만 6,000달러(약 1억 4,734만 원)까지 하락하는 격동의 흐름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시장의 불안 가운데, 투자자들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9월 CPI 발표에 주목했다. CPI 수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옴에 따라 비트코인은 1,000달러 급등하여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에 도달했지만, 상승세는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고 곧바로 다시 하락했다. 그럼에도 이번 주 기준으로는 5.7% 상승하는 좋은 성과를 보이며 반등의 신호를 나타냈다.
알트코인들도 비트코인 못지않은 성장을 보였다. 도지코인(DOGE), 솔라나(SOL), 체인링크(LINK),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비트코인캐시(BCH) 등은 비트코인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총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2,780조 원으로 회복되었고, 비트코인의 점유율은 57.7%에 달했다.
또한, JP모건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을 담보 자산으로 허용할 계획을 발표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낸스 CEO인 창펑 자오(CZ)에게 특별 사면을 주기로 하였고, CZ는 SNS를 통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주기영 CEO가 이끄는 스트레티지(Strategy)는 이번 주 1,880만 달러(약 261억 원)를 들여 168 BTC를 추가 구매하며 총 보유량을 64만 418 BTC로 늘렸다. 한편, 미국의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크립토 자금조달 플랫폼 ‘에코(Echo)’를 3억 7,500만 달러(약 5,213억 원)에 인수하였으며, 이는 현금과 주식의 혼합 방식으로 이루어져 2025년 최대 거래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향후 흐름이 다음 FOMC 회의 결과, 미국 정부의 셧다운 종료 시점,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 일정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당분간 변동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점차 긍정적인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