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분실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현재 복구가 불가능한 비트코인의 총량이 최대 37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보안 기업 레저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초를 기준으로 이들 비트코인의 가치는 약 1,380억 달러에서 2,22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한화로 약 191조 8,200억 원에서 308조 5,800억 원에 이른다. 특히, 비트코인을 잃어버린 사례는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2024년도 동안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암호화폐 관련 사기 피해 금액이 93억 달러를 초과했으며, 이 중 상당수는 디지털 금융에 미숙한 60세 이상의 고령자들이다. 이들은 자신의 자산을 되찾으려 하다가, 복구 사기(recovery scam)라는 추가 피해에 휘말리기도 했다. 즉, 비밀번호와 시드 문구(seed phrase)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대처할 방법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이 문제다.
암호화폐 지갑에 접근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 먼저 지갑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갑은 크게 커스터디얼 지갑과 논커스터디얼 지갑으로 나뉜다. 커스터디얼 지갑은 바이낸스, 크라켄, 코인베이스와 같은 중앙화 거래소에서 제공하며, 일반 은행처럼 이메일 기반 비밀번호 재설정이나 KYC(실명 인증)를 통해 복구가 가능하다. 이러한 거래소는 사용자의 개인 키를 관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안전하게 자산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논커스터디얼 지갑은 메타마스크, 트러스트 월렛, 그리고 레저와 같은 콜드 월렛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비밀번호나 시드 문구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논커스터디얼 지갑의 경우, 시드 문구와 비밀번호를 모두 잃어버린다면 사실상 복구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만약 시드 문구만 남아 있다면 다른 기기에서 복구가 가능하지만, 두 정보 모두 없으면 자산은 영원히 사라질 위험이 크다.
최근, 가짜 복구 서비스를 내세운 업체들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이들은 복구 회사를 사칭하며 이메일과 SNS를 통해 사용자들을 속이고, 선입금을 요구하거나 의심스러운 링크에 접속하도록 유도한다. 전문가들은 진짜 복구 서비스는 선결제금을 요구하지 않으며, 정식으로 등록된 회사에서만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기와 방치된 자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보관 방식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인 정보 관리가 허술하다면 아무리 첨단 기술이 발전해도 안전 자산 보호는 어려울 수 있다. 시드 문구와 지갑 접근 정보를 잃지 않도록 최소한 2중 이상의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자산 보호의 핵심이며, 오프라인 백업, 패스워드 매니저, 종이 저장 방식을 통해 소중한 자산을 지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2025년에도 암호화폐 사용자들은 기본적인 습관을 통해 자신의 자산을 보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