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2025년 현재 약 1억 6,680만 원(120,000달러)을 기록하며 새로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이로 인해 시장의 고점 여부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실현 손익 지표(NUPL)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로 부각되고 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애널리스트인 연세 덴트(Yonsei Dent)는 최근 발표한 NUPL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번 상승장이 이전과는 다른 ‘계단식 랠리’ 형태를 보인다며,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NUPL이 0을 초과할 경우 수익을 보는 비트코인 보유자가 손실을 보는 경우보다 많아진다”며, 이 지표의 상승이 매도 심리의 강화를 초래해 시장에 대한 매도 압력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과거의 NUPL 지표는 상승장의 정점 시점에서 고점을 기록한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2017년의 강세장에서는 한 번의 피크가 있었으나, 2021년에는 두 차례, 현재까지는 이미 두 번의 피크가 있었고, 세 번째 정점을 시험하고 있다는 것이 연세의 분석이다. 이러한 경향은 현재 비트코인 시장이 아직 확고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사이클에서 기존 강세장과 달라진 점은 기관 투자자들의 뚜렷한 참여이다. 미국에서 승인된 현물 비트코인 ETF와 대기업들의 대규모 비트코인 매수는 시장 규모와 유동성을 이전 사이클에 비해 크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각 상승 구간에서의 평균 수익률은 점점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상승장이 더 길게 지속될 가능성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만을 기대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아울러 NUPL 지표가 여전히 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는 시장이 강세 국면에 머물고 있음을 의미하며, 단기 투자자들의 평균 매입가보다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이 높은 만큼, 향후 가격 상승 시 단기 차익 실현 욕구가 증가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장기 투자자들의 행동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의 분석에 따르면, 7일 이동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장기 홀더들의 실현 수익 규모는 7월 하루 약 13억 9,000만 원(10억 달러)까지 치솟았으나, 최근에는 점진적인 감소세를 나타내 매도 압박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예전과 같은 급등장이 반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상승장이 조금 더 길게 이어지는 한편, 투자자들은 수익 기대치의 현실화와 시장의 점진적 감속을 염두에 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 모든 정보들은 비트코인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관찰과 투자 결정에 있어 의미 있는 지표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