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선물 시장에서는 최근 2조 7,800억 원에 해당하는 대규모 청산이 발생하며, 투자자들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레버리지 포지션을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파생상품 데이터와 온체인 지표는 시장이 뚜렷한 방향을 정하지 못한 채 신중한 관망세에 들어섰음을 보여줍니다.
지난주 금요일 이후,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이 2억 달러(약 2,780억 원) 감소하면서 420억 달러(약 58조 3,000억 원)에서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 아래로 하락했다. 월요일 장중, 비트코인이 11만 6,700달러(약 1억 6,221만 원)까지 일시적으로 상승한 뒤 급속한 반전을 경험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이달 들어 선물 거래량이 전체적으로 역대 최저 근처에서 정체된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는 단기적인 방향성에 대한 베팅 포지션이 급감했음을 의미하며, 시장이 연준 발표 이후 뚜렷한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현물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표는 11만 5,000달러(약 1억 6,035만 원) 부근에서 미국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수를 가리키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주요 지지선이 굳건히 방어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현상은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을 통한 변동성이 발생하기 전까지, 미국 투자자들이 일정 가격대를 방어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올해 들어 상승 랠리를 주도하던 고레버리지 추세가 다소 주춤세를 보이며, 비트코인 시장은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가는 모습이다. 향후 시장의 방향성은 연준의 금리 동결 또는 인하 여부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더욱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캠페인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미국 내 규제 불확실성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매수세로 이어지는 양상도 감지되고 있다.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의 이와 같은 대규모 청산과 현물 수요의 강세는, 투자자들이 당장의 시장 변동보다는 장기적인 전략을 보다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의 비트코인 가격 움직임은 연준의 정책 변화와 다양한 외부 요인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투자자에게 큰 기회의 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