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10월 첫 거래 주를 맞이하여 반등세를 보이며 시장의 반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 주 사상 최대 규모의 강제 청산 사태 후, 비트코인은 급락에서 회복하여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까지 올라섰다. 이는 전 주 금요일의 바닥 수준인 10만 9,700달러(약 1억 5,213만 원)와 비교해 약 5.7% 상승한 수치로, 코인텔레그래프 마켓 프로와 트레이딩뷰 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반등은 역사적으로 가장 큰 청산 이후 발생한 현상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이번 반등이 일시적일 것이란 의견과 지속적인 상승세로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 트레이더들은 황소장이 다시 돌아올 가능성을 낮게 보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는 반면, 이번 레버리지 재설정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황소를 재활성화할 신호로 해석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이와 함께 미국 정부의 셧다운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등 여러 경제 지표의 발표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어 시장의 추세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금 가격이 역사적인 최고치를 돌파하면서 암호화폐와 금 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주는 비트코인은 물론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해소 이후의 시장 방향성을 살피고 있으며, 연준의 메시지와 거시경제 지표 재개가 시장에 끼칠 영향에 귀 기울이고 있다. 비트코인의 반등과 함께 시장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경제 지표와 금리에 대한 연준의 입장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비트코인이 이번 반등을 기회로 하여 진정한 상승세로 이어질지를 지켜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