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전통 금융과의 관계 단절…“상승 신호?”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최근 하락세가 전통 금융 자산과의 관계 단절을 초래하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이 현상이 예상치 못했던 상승장을 예고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최근 들어 금가격과 미국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은 오히려 후퇴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반등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인 샌티멘트(Santiment)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8월 22일 이후 5.9% 하락하며 한때 107,500달러(약 1억 4,942만 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기간 동안 미국 S&P500 지수는 0.4% 상승하고 금가격은 5.5% 급등하여, 최근 2년간 전통 자산들과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던 암호화폐 시장에서 이같은 괴리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샌티멘트는 “비트코인과 전통 자산 간의 격차가 커질수록, 암호화폐는 이를 메우기 위해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지속적인 괴리는 강한 회복세가 오기 전의 신호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비트코인이 전통 자산보다 뒤처진 현재 상황이 오히려 투자자들에게 매수 타이밍을 시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매트릭스포트(Matrixport) 역시 유사한 분석을 제시했다. 이들은 비트코인이 현재 106,000~108,000달러(약 1억 4,734만~1억 5,012만 원) 구간에서 지지선을 시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약세 흐름이 재확인되는 상황이지만, 동시에 시장에서 큰 반전의 조짐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9월에 들어 미국의 채무 증가, 유럽 채권 시장의 불안, 금값 급등과 같은 거시경제 변화가 뒤섞이면서 비트코인 가격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파생시장에서는 암시된 변동성이 역사적 저점으로 수렴하고 있어, 시장이 불안한 상태에 있는 점 또한 투자자들에게 경고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포트는 “일반적으로 이렇게 깊게 눌린 구간은 강한 반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투자자들에게 가격 변동을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결국, 비트코인의 최근 하락세가 단기적인 약세로 끝날지, 아니면 향후 ‘폭풍 전 고요’를 만들어낼 가능성은 시장의 주요 변수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지금이 방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데 주목하고 있으며, 향후 비트코인의 움직임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