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주말 급락을 견디고 반등세를 보이며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에 근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알트코인들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사기를 높이고 있다.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60조 원을 회복했고, 전체 시장 규모는 3,800조 원을 다시 돌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비트코인은 방향성을 찾으려 애쓰고 있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와 미국의 핵잠수함 이동 등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불안감 속에서 비트코인은 한때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 아래로 하락하며 2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토요일 저녁부터 시작된 ‘저가 매수’ 움직임이 비트코인의 반등을 이끌었다. 현재 가격은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를 돌파하며, 시장 내에서 60%의 지배력을 지니고 있다. 비트코인은 여타 자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주에도 거시경제 변수에 따른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알트코인 시장은 비트코인보다 큰 낙폭을 경험했지만, 그만큼 회복력도 뚜렷하다. 이더리움(ETH)은 한때 3,400달러(약 472만 원)까지 하락했으나 현재는 3,550달러(약 494만 원)로 상승했다. XRP도 2.72달러(약 3,785원)에서 밀렸으나 현재 3달러(약 4,170원)로의 재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스텔라루멘(XLM)으로, 9.5% 상승하며 0.41달러(약 570원)를 넘겼다. 에테나(ENA)와 HASH 같은 다른 개별 종목들도 유사한 상승세를 보여 단기 투자자들에게 수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대 이벤트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도 이번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 탄력성은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상승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경제 환경의 개선과 투자자 심리 회복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향후 몇 일간의 글로벌 뉴스 흐름이 암호화폐 가격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시장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