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파생시장, 1,530% 청산 불균형으로 큰 충격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파생상품 시장에서 예상치 못한 청산 불균형이 발생하여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파생상품 데이터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최근 4시간 동안 1,530%에 달하는 청산 비율 격차가 관찰되었으며, 총 562만 달러(약 78억 1,000만 원)의 포지션이 청산됐다. 이 청산 금액 중에서도 매수(롱) 포지션이 528만 달러(약 73억 4,000만 원)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매도(숏) 포지션 청산액은 34만 5,000달러(약 4억 8,000만 원)에 불과했다.

이번 청산 사태는 비트코인 가격이 11만 1,000달러에서 11만 1,300달러(약 1억 5,429만~1억 5,457만 원)의 협소한 구간에서 유지되면서 일어났다. 많은 트레이더들이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롱 포지션에 진입했지만, 현실은 그 기대와 다르게 진행되었고 그 결과 많은 롱 포지션이 청산되는 비극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강하게 편중된 롱 포지션 구조가 붕괴된 것이다.

시장은 이와 같은 청산 사태에 대해 ‘과도한 레버리지’와 낮은 유동성을 주요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청산 규모에 비해 실제 거래량은 크지 않아 일부의 비정상적인 거래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바이낸스와 OKX와 같은 주요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매수 대비 매도 비율이 각각 1.89와 1.88에 달하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상위 트레이더들 역시 롱 포지션의 비중이 평균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구조는 가격이 예상과 다르게 움직일 경우 연쇄 청산의 위험을 가중시킨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약 11만 1,140달러(약 1억 5,444만 원) 선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으며, 표면적으로는 큰 변동이 없는 듯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극단적인 레버리지 쏠림 구조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여러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적 불균형이 지속되면 가격이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더라도 다시 한번 청산 연쇄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비트코인 파생상품 시장에서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들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은 여전히 통제되지 않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