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11만 5,500달러를 회복하지 못하며 하락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옵션 시장에서의 하방 헷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향후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적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비록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헷지 수요가 곧 비트코인 가격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의 시장 정황은 주목할 만하다.
최근 22일(현지시간) 비트코인은 11만 5,500달러(약 1억 6,045만 원)에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옵션 시장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할 경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풋옵션의 수요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장에서 일부 매도 세력이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 이하 가격대를 목표로 삼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옵션 거래의 증加가 단순한 비관적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갈등의 심화로 인해 발생한 불확실성에 대한 헷지 전략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비트코인 선물 시장의 프리미엄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본격적인 하락세로의 전환보다는 불확실성에 대비한 균형적인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재도전과 관련된 정책의 불확실성이 시장에 미친 영향도 작지 않다는 해석이 있다. 글로벌 자산시장에서는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화되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 또한 이러한 심리적 영향을 받아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주 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있으며, 시장의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한 뚜렷한 신호가 무엇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비트코인은 향후 당분간 11만 5,500달러와 11만 2,000달러 사이에서 균형점을 모색하는 공방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은 비트코인 시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과 관련 업계의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