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최근 몇 주간 10만 6,000달러(약 1억 600만 원) 수준을 지속적으로 넘지 못하면서 시장은 정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대비되는 S&P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에 1%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금 가격 또한 최근 하락분을 회복하며 사상 최고가 대비 약 4% 하락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의 부진한 흐름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장기 보유자들이 자산을 거래소로 옮기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는 최근 확인된 대규모 비트코인 지갑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자산 이동은 장기적인 신뢰가 약화되고 있음을示唆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퀀텀 컴퓨팅(양자컴퓨터)의 발전이 암호화폐 보안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나타난 현상이다.
흥미롭게도, 비트코인 현물 ETF로 유입되는 자금은 상당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가격 회복력에는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 트레이더들은 익명성 강화가 특징인 ‘프라이버시 코인’에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제트캐시(Zcash, ZEC)와 디크레드(Decred, DCR) 같은 코인들이 최근 급등세를 보이며 자금이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트코인에서 프라이버시 코인으로의 자금 이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 가격이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가운데에서도 뚜렷한 반등을 보이지 못하는 이유로, 암호화폐 시장 자체의 불확실성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특정 전문가들은 이러한 요인들이 비트코인이 11만 2,000달러(약 1억 1,200만 원)를 다시 넘는 흐름으로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결국, 비트코인의 안정성이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다른 암호화폐들로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양상이다.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느낄 수 있는 자산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비트코인의 가격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듯 비트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미래의 회복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