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최근 11만 달러(약 1억 1,000만 원)에 가까워졌지만, 여기에 강력한 매물대가 형성되며 상승 흐름에 제동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2000달러 관세 배당’ 공약과 미국 정부 셧다운 타결 기대감 등의 긍정적인 요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 보유자(LTH)의 매도세와 규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저항선突破를 방해하고 있다.
일본의 리서치 기관 XWIN은 비트코인이 10만 7,000달러(약 1억 700만 원)에서 11만 8,000달러(약 1억 1,800만 원) 사이에서 강력한 매도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특히 최근 며칠간 장기 보유자들 사이에서 거래소로의 유입량이 평소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공급 장벽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비트코인은 지난 11월 9일부터 짧은 반등을 시작했다. 당시의 가격은 10만 2,000달러(약 1억 200만 원) 아래에서 10만 4,000달러(약 1억 400만 원)선으로 상승했다. 이 움직임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민들에게 1인당 2000달러의 ‘관세 배당’을 하겠다고 발표한 직후에 발생해, 2020~2021년 경기부양책에 따른 암호화폐 가격 급등을 연상시켰다.
셧다운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비트코인은 11월 10일 한때 10만 7,000달러를 넘어섰으나, 상승세가 꺾이면서 10만 5,000달러(약 1억 500만 원)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XWIN은 금리 불확실성과 규제 리스크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비트코인의 상승세를 저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방준비제도(Fed)는 10월에 금리를 인하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12월에 추가 금리 인하가 보장되지 않는다고 발언하여 위험자산에 대한 부담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주 정부 차원의 규제가 여전히 장애물 역할을 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진입을 방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 보유자의 실현 이익을 분석하는 LTH-SOPR 지표는 지난 7월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해 현재 약 1.6 수준까지 떨어졌고, 이는 보유자들이 수익성이 줄어든 상황에서도 매도에 나서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XWIN은 이것이 ‘보유에 대한 확신의 약화’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 반전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MorenoDV_는 스테이블코인 공급 비율(SSR)이 과거 주기의 바닥에서 반등 신호를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역사적으로 SSR이 낮은 시점에서는 대기 자본이 크립토 자산으로 유입되는 경향이 있기에 회복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최근 비트코인의 단기 변동성이 30일 평균을 넘어서면서 유동성 테스트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큰 방향성 전환을 의미할 수 있는 신호로 해석된다.
일부 분석가들은 여전히 신중한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분석가 Doctor Profit은 ‘골든라인’으로 알려진 약 9만 9,200달러(약 9,920만 원) 지지선의 붕괴가 임박했다고 경고하며, 이 경우 비트코인의 강세 모멘텀이 급격히 꺾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이 없어 갈림길에 놓여 있다. 낙관적인 일정과 매크로 변수들이 엇갈리면서 단기적으로 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