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는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 부근에서 반등의 신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상대강도지수(RSI)가 주요 단기 차트에서 과매수 상태를 나타내면서 매수 신호로 해석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기술적 분석은 시장 내 빠른 확산을 보고 있다.
차트 애널리스트인 스콧 멜커(Scott Melker)는 최근 자료를 통해 비트코인의 4시간 및 6시간 차트에서 RSI가 과매도 구간에 진입하며 ‘강세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이러한 신호가 향후 12시간 혹은 일봉 차트로까지 뻗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탈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1만 2,000달러 선에서 지속적인 지지를 보름으로써, 이러한 기술적 신호의 의미는 더욱 주목할 만하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시세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5,115달러(약 1억 6,007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기록적인 신고점인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 대비 소폭 하락한 상태이다. 전문가들은 이 선이 주요 지지선으로 작용할 경우 단기적인 반등의 가능성을 점치고 있으며, 반대로 이 수준이 무너지면 추가적인 조정 압박이 있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러한 기술적 지표 외에도 외부 요소들이 비트코인 가격에 추가적인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되고 있다. 특히 필리핀에서 발견된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법안은 정부가 연간 2,000개의 비트코인을 5년간 지속적으로 매입해 20년간 보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 제출자는 이 조치가 국가의 장기적 금융안정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암호화폐 전략 참여를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뉴스가 퍼져나가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향후 대응 가능성 또한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블룸버그 소속의 애널리스트인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은 “비트코인 가격의 갑작스런 반등이 Fed의 긴축 경계를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놨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변동성이 큰 자산으로 평가되지만, 현재 기술적 분석과 정책 뉴스가 동시에 강세 신호를 전하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방향성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향후 이러한 지표와 정책 흐름이 실제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