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은 최근 금요일에 11만 4,013달러(약 1억 5,847만원)까지 하락하며 총 2억 달러(약 2,780억원)의 레버리지 강세 포지션이 청산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파생상품 시장 전반에서 투자자들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었고 비관적인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지난 3주 동안 비트코인은 12만 달러(약 1억 6,680만원) 선을 지지하지 못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로부터의 자금 유출과 선물 프리미엄의 감소는 현재 시장 심리가 중립에서 점점 약세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시장 전반에서 공포감은 아직 확산되지 않은 상황이다.
옵션 시장에서는 뚜렷한 매도 신호가 관찰되지 않고 있다. 롱 포지션의 청산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미결제약정은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풋옵션 대비 콜옵션의 비율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 시장의 단기 변동성이 증가할 수는 있겠지만, 명확한 약세 전환 신호는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주요 분석가들은 이번 하락이 전체 상승장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한 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심리적 저항선이 반복적으로 무너졌지만, 뚜렷한 하방 이탈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조정은 기술적 조정의 일환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 안에서는 이전의 고점 근처에서 계속해서 매도 압력이 유지되지만,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한 장기적인 상승세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의견도 많다. ETF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기관 투자자들의 활동은 크게 위축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러한 주장에 힘을 더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현재 단기 하단 지지선을 찾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의 매수세 유입 여부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지나친 낙관과 비관을 경계하며, 다음 추세를 판단하기 위해 충분한 관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비트코인의 미래 투자 심리는 여전히 봄을 기다리는 씨앗처럼, 시장이 안정을 찾기를 바라며 신중한 태도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