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은 현재 12만 4,000달러를 목표로 한 상승 전략을 구상하며 가격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최근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인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 부근에서 조정을 겪었지만, 전반적인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장 참여자들은 다음 상승 모멘텀의 재점화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상승 채널을 지지선으로 활용하며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100일 이동평균선이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부근에서 강력한 지지력을 보이고 있으며, 비트코인은 지속적으로 과거의 고점을 갱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가격 상승과 상대강도지수(RSI) 모두 둔화세를 보이며 단기 랠리에 제동이 걸린 듯한 양상이다.
4시간 차트에 분석해보면 단기 상승 추세선이 흔들리고 있는 징후가 보인다. 비트코인은 11만 7,000달러에서 11만 8,000달러(약 1억 6,263만 원~1억 6,412만 원)의 저항대에서 쉽게突破하지 못하고 뒤로 물러섰으며,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하락 삼각형 패턴이 형성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RSI 지표 또한 50 이하로 하락하면서 하락 다이버전스 신호가 나타나 추가 조정에 대한 우려를 증대시키고 있다. 유의할 점은, 만약 비트코인이 지지선인 11만 8,000달러를 회복하지 못할 경우, 단기적으로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 수준까지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가격대는 이전에 수요가 집중되었던 지역이므로 반등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온체인 분석 지표인 장기 보유자 지출 수익률(Long-Term Holder SOPR)도 주목할 만한 요소이다. 최근 이 지표의 하락은 장기 투자자들이 코인을 덜 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단기적인 가격 정체 속에서도 경험 있는 투자자들은 매도보다는 ‘보유 전략’을 강화하고 있어 수급 압력이 줄어들고 있는 신호가 된다. 이러한 심리는 상승장에서 자주 발생하며, 만약 수요가 다시 살아난다면 강한 반등이 기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은 현재의 단기 조정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상승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장기 투자자들의 강한 홀딩 신호와 구조적으로 견고한 지지선이 작용하는 만큼, 12만 4,000달러를 돌파하는 순간 큰폭의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전망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판단이 필요한 시장 분위기 속에서, 단기 지지선의 위기가 우려되기도 하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