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3조 원 유입, 암호화폐 시장 활황 조짐

[email protected]



최근 코인셰어스(CoinShares)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 시장에 약 33억 달러(약 4조 5,870억 원)의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면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는 7월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약세장이 끝나고 있는 신호로 해석되며 투자자의 신뢰가 회복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비트코인만으로도 24억 달러(약 3조 3,360억 원)가 유입되어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의 하락에 베팅한 숏(Short) 포지션 상품에서는 자금이 빠져나가며 운용 자산 규모가 8,600만 달러(약 1,195억 원)로 줄었다. 이더리움 역시 연속적인 자산 유출세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으며 지난 주부터 닷새 연속 순유입을 기록, 총 6억 4,600만 달러(약 8,987억 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주요 알트코인들도 상승세에 합류하고 있다. 솔라나(SOL)는 지난 금요일에만 1억 4,500만 달러(약 2,015억 원)의 자금을 기록하며 일일 기준 역대 최대 유입을 달성했고, 주간 전체로는 1억 9,800만 달러(약 2,752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하였다. XRP는 3,250만 달러(약 452억 원)와 수이(SUI)에는 1,400만 달러(약 195억 원) 각각 유입되었고, 체인링크(LINK), 에이다(ADA), 크로노스(CRO) 또한 소폭의 자금 유입세를 보였다.

그러나 다양하게 혼합된 멀티에셋 상품에서는 여전히 110만 달러(약 153억 원)의 소폭 자금 이탈이 있었고, 아베(AAVE)와 아발란체(AVAX) 관련 펀드에서도 자금이 소량 빠져나갔다. 지역별 자금 유입 통계를 살펴보면, 미국이 전체 유입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32억 달러(약 4조 4,480억 원)가 들어왔고, 독일에서도 금요일 하루에만 1억 달러의 자금이 유입되며 총 1억 6,000만 달러(약 2,224억 원)에 달했다. 그 외에도 캐나다가 1,410만 달러(약 196억 원), 브라질과 홍콩은 각각 540만 달러(약 75억 원), 호주는 240만 달러(약 33억 원)의 유입을 기록했다.

하지만 스위스에서는 9,200만 달러(약 1,279억 원)의 대규모 자금 유출이 감지되었고, 스웨덴도 560만 달러(약 78억 원)가 빠져나가는 등 지역별로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이번 자금 유입으로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의 총 운용 자산(AuM)은 2,390억 달러(약 332조 2,300억 원)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8월 초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 2,440억 달러(약 339조 1,600억 원)에 근접한 수치이다.

전체적으로 이번 자금 흐름은 시장이 리스크를 점차 수용하며 중장기적인 희망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 시장의 활황 세미는 앞으로의 시장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