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 가격이 미국의 긴축 통화 정책의 여파로 한때 99,000달러(약 1억 3,365만 원)까지 하락하며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유명 매크로 애널리스트 라울 팔(Raoul Pal)은 이러한 하락세가 일시적이라고 강조하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확대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이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급락세와 함께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태에 있다. 보도 시점에서 비트코인은 102,500달러(약 1억 3,803만 원)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일주일 동안 약 10% 하락했으며, 한 달 기준으로는 18% 이상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더리움(ETH) 역시 같은 기간 동안 약 30% 가까이 급락했다.
라울 팔은 이번 하락장을 ‘고통의 창’이라 언급하며, 향후 1년간 만기가 돌아오는 약 10조 달러(약 1,350조 원)의 미국 국채가 시장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미 재무부의 대규모 지출이 시작되면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러한 흐름이 위험 자산 시장 전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상되는 재정 지출 규모는 약 2,500억~3,500억 달러(약 337조~472조 원)로 추산된다.
그는 또한 미국 의회에서 논의 중인 ‘CLARITY 법안’이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를 명확화하여 기관 투자자들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법안과 함께 일본과 중국의 경기 부양책, 미국의 자산건전성 규제 완화, 금리 인하 가능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2026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경기 부양 조치가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트멕스(BitMEX) 공동 창업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역시 유사한 시각을 갖고 있다. 그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달러 유동성이 7월 이후 8% 감소하면서 비트코인 약세가 발생했다고 언급하며, 셧다운 해제와 국채 잔고 감소로 인해 다시 유동성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특히 조용히 다시 시작될 양적완화(QE)가 이후 상승장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록 시장 상황은 여전히 불안정하지만, 많은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하락의 주 원인을 기술적 조정과 과도한 레버리지 청산으로 분석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일주일 만에 약 4,000억 달러(약 540조 원)이 증발하며 3조 2,000억 달러(약 4,320조 원) 선으로 떨어졌다.
이와 함께 비트파이넥스(Bitfinex) 보고서에 따르면, 장기 보유자들이 여전히 매달 약 104,000 BTC를 매도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공포 매도라기보다 단순한 차익 실현으로 해석되고 있다. 기관 투자자들은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이 보다 명확해질 때까지 관망하고 있는 상태이다.
결국, 라울 팔과 아서 헤이즈의 전망처럼 향후 유동성 환경이 개선된다면 암호화폐 시장은 현재의 조정을 극복하고 다시 상승할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런 변화를 예측하는 것에는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이 동반되므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