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주간 기준으로 6% 이상 하락하며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 수준까지 떨어졌다. 지난 금요일에는 사상 최고치인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를 기록한 반면, 현재의 하락세는 시장의 분위기를 급격히 바꾸어 놓았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잭슨홀 연설’에 집중되고 있다. 파월 의장이 금리 전망과 긴축 기조의 변화에 대해 어떤 언급을 하는지가 암호화폐 시장의 향후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11만 2,000달러를 지키지 못할 경우, 5자리 수 대 가격으로 재진입할 가능성이 높아 심리적 마지노선이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특정 알트코인들은 더 큰 낙폭을 경험하고 있다. 이더리움(ETH)은 주간 기준으로 9% 하락한 4,220달러(약 586만 원)을 기록하였고, 리플(XRP)은 10.4% 하락하여 2.79달러(약 3,883원)로 떨어졌다. 특히 에이다(ADA),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수이(SUI)와 같은 코인들은 두 자릿수의 하락률로 시장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OKB는 반대로 상승세를 보이며 이번 주에 130% 넘는 폭등을 기록, 225달러(약 31만 3,000원)를 넘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바이낸스코인(BNB)도 신기록을 세우며 소수의 강세 코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메이저 뉴스도 쏟아졌다. 메타마스크는 스트라이프와의 협력을 통해 mUSD라는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했고,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메타플래닛은 각각 430BTC와 775BTC를 추가로 매입해 보유량을 늘렸다. 리플은 일본의 SBI그룹과 협력하여 RLUSD 스테이블코인을 일본 시장에 배포한다고 발표했지만, 이와는 상반되게 XRP의 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편, 카녜이 웨스트는 솔라나(SOL) 기반의 밈코인 YZY를 출시하며 30억 달러(약 4조 1,700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나, 이후 80% 급락하며 ‘러그풀’ 의혹에 휘말렸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폴 앳킨스 의장이 “대다수 암호화폐는 증권이 아니다”라고 발언하며 규제 불확실성에 대한 단서를 제공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현재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3조 8,700억 달러(약 5,379조 원)로 집계되었으며, 전반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57.5%로 늘어났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1,210억 달러(약 168조 원)에 달하며,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깊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주의 암호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지정학적 이슈와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하락 압력을 키운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잭슨홀 이후의 시장 흐름은 이 분야의 단기적인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