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최근 9만 3,000달러(약 1억 3,053만 원)로 급락한 후, 소폭 반등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은 여전히 큰 폭의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어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하락 구조로 전환됐다는 분석이 확산되고 있다.
한 주 전, 미 국채금리 안정과 공급 이슈 완화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비트코인은 한때 10만 7,000달러(약 1억 5,013만 원)를 돌파하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그 후 단기 랠리는 빠르게 꺾였고, 금요일에는 5월 이후 처음으로 9만 4,000달러(약 1억 3,177만 원)까지 떨어졌다. 이어 일요일 오후에는 최근 6개월간 최저인 9만 3,000달러를 기록했다. 현재 가격은 약 9만 6,000달러(약 1억 3,488만 원)로 소폭 회복했지만, 시장 구조가 약세장으로 전환되었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여전히 1조 9,000억 달러(약 266조 5,000억 원)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으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57.2%에 달하고 있다. 특히 알트코인 시장은 더욱 큰 충격을 겪고 있다. 이더리움(ETH)은 다시 3,100달러(약 4,349만 원) 아래로 떨어졌고, 현재 3,200달러(약 4,480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24시간 기준으로 1% 하락했다. 바이낸스코인(BNB), 솔라나(SOL), 트론(TRX), 도지코인(DOGE), 에이다(ADA), 비트코인캐시(BCH), 체인링크(LINK) 역시 비슷한 하락세를 보였다.
더욱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와 지캐시(ZEC)는 3% 이상의 하락폭을 기록했고, 모네로(XMR), 라이트코인(LTC), 니어프로토콜(NEAR), 펌프펀(Pump.fun), 인터넷컴퓨터(ICP) 등은 최대 9%까지 급락했다. 반면 유니스왑(UNI)과 에테나(ENA)와 같은 일부 암호화폐는 소폭 상승세를 보였으나 상승폭은 제한적이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약 400억 달러(약 56조 원)가 감소하며 3조 3,500억 달러(약 470조 원) 아래로 하락했다. 이번 하락은 단순한 단기 조정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구조적 약세로의 전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기술적 지지선 붕괴와 함께 시장 전반의 거래 심리가 급격히 약화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출마 행보와 미중 무역 협상 이슈, 글로벌 금리 기조 변화 등 다양한 거시경제 요인이 암호화폐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