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가격이 14만 8,930달러(약 1억 4,839만 원)로 하락하면서 단기 저점을 기록한 가운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의 향방에 대한 경계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지만,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질 수 있는 파생상품 시장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에 근접해 강세론자들에게 새로운 기대를 안겨주고 있다.
9월 1일, 비트코인은 CoinGecko 기준으로 14만 7,500달러(약 2억 515만 원)로 하락하여 최근 2개월 중 최저치를 기록했던 이후 매수세가 유입되며 회복세를 보였다. 현재 비트코인은 15만 4,000달러(약 2억 1,406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그러나 24시간 동안 약 7,400만 달러(약 1,027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상승세의 지속 가능성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 거래량은 460억 달러(약 64조 4,000억 원)로 축소되었고, 점유율은 하룻밤 사이에 3%p 떨어져 57.8%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ETF 시장은 현재 뚜렷한 침체를 겪고 있다. 미국 내 주요 비트코인 현물 ETF는 7월 중순 이후 자금 유입 규모가 줄어들었으며, 9월 1일 하루 동안 유입된 자금은 단 1억 9,200만 달러(약 2,669억 원)에 불과하다. 블랙록의 IBIT 펀드는 여전히 시가총액 7위에 위치하지만, 자금 유입 속도는 예전 수준과 비교해 둔화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ETF에 배분된 자산은 1,420억 달러(약 197조 8,000억 원)로, 한 달 전의 고점인 1,550억 달러(약 215조 4,000억 원)에서 현저히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이더리움(ETH) ETF의 자산은 220억 달러(약 30조 5,800억 원)에서 240억 달러(약 33조 3,600억 원)로 확대된 점이 눈에 띈다.
한편으로, 비트코인의 선물 시장에서는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의 미결제약정 규모는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에 달하며 주간 최고치에 가까워졌다. 이는 이전 몇 주간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으며, 작년 같은 기간 150~160억 달러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리고 있다. 특히, 4분기는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강세장이 도래할 수 있는 시점으로,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상승 여력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또한,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의 신규 암호화폐 WLFI가 9월 1일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되면서 0.3달러를 돌파하며 시가총액 82억 6,000만 달러(약 11조 4,414억 원)에 도달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WLFI는 0.22달러로 가격이 안정화되었으나, 전체 물량의 80%가 락업돼 있어 공급 구조가 중앙집중화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초기 투자자들은 최소 50~60억 달러(약 6조 9,500억~8조 3,400억 원)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