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Fed의 여파 속에서 단기 반등…트럼프 정책 기대에도 박스권 지속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가격이 연방준비제도(Fed)의 6월 FOMC 의사록 공개 직후 급락한 가운데, 제롬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를 당분간 보류하겠다고 발표하자 시장은 실망감에 휩싸였다. 그러나 이튿날 미국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의 반발 매수세가 나오면서 비트코인은 이전의 낙폭을 상당 부분 회복했다. 현재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경제 정책의 중장기적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은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에서 12만 1,000달러(약 1억 6,799만 원) 구간에서 18일 간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거래일 기준으로는 갈수록 강한 매도 압력 속에서도 단기적으로 지지선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가격 흐름에 대해 시장 분석가들은 단기적으로 가격이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시장 정보업체 하이블록 캐피털(Hyblock Capital)은 이번 가격 변동과 관련하여 “FOMC 발표 전후로 나타나는 유동성 사냥”이라고 분석했다. 그들은 특히 15분 캔들 차트에서 나타나는 양방향 긴 꼬리를 언급하며 전형적인 방향성 부재가 드러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주문서의 10% 깊이 수준에서 매수/매도 비율 지표가 빨간색으로 전환되면서 11만 5,883달러(약 1억 6,241만 원) 수준의 대량 청산 포인트가 테스트될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전했다.

한편, 거래자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친크립토 기조와 규제의 완화가 실제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얼마나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정책 신호와 가격 반응 사이의 시간차가 커지면서 시장 전반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정치적 혜택보다는 기술적 지표와 시장 유동성이 단기 변동성을 좌우할 것이라는 신중론이 퍼지고 있다.

비트코인이 당면한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단기 반등을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향후 시장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시점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