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FOMC 앞두고 조정 우려 속 관망세 지속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발표를 앞두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파생상품 지표 중 하나인 옵션 델타 스큐가 중립 기준인 7%를 초과하여, 투자자들이 우려로 선회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경기 둔화와 인공지능(AI) 관련 규제로 인해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8만 4,000달러(약 1억 1,696만 원)에 도달했으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이익 실현에 따른 매물로 인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정책금리를 동결하거나 연내 단 한 차례만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 시장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며, 이와 함께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NVDA)와 같은 AI 반도체 기업에 대해 중국 수출 제한을 추가할 가능성에 대한 보도가 나오면서 리스크 회피 성향이 더욱 뚜렷해졌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가는 2.6% 하락하는 등 기술주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시장 내 주요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활발한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상위 트레이더들의 롱 포지션 비율이 여전히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하루 동안 현물 비트코인 ETF에 유입된 자금은 2억 9,200만 달러(약 4,058억 원)에 달한다. 이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낙관론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부 헤지 목적의 포지셔닝은 향후 비트코인이 8만 달러(약 1억 1,120만 원) 초반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연준 발표를 앞둔 시점에서 비트코인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관망세에 접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음 주에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연준의 점도표가 단기 시장 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비트코인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에 대한 구체적인 신호보다는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경로와 그로 인한 시장의 태도 변화에 더욱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금리가 동결된다면 현재의 비트코인 가격은 계속해서 높은 지지대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대로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가 전해진다면 비트코인은 단기 조정을 받을 가능성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비트코인 투자자들은 자신의 포지션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