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 반 동안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고객 유치를 위해 막대한 금액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빗썸은 전체 수수료 수입의 약 20%에 해당하는 1,800억 원을 마케팅에 쏟아 부으며, 고객을 끌어들여 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10월 4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7월까지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5개 주요 거래소의 고객 대상 마케팅 지출액은 약 1,93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빗썸의 지출액은 1,802억 원으로 전체의 93%에 달하며, 이는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규모를 나타낸다.
이러한 지출은 주로 수수료 할인, 거래금 환급, 그리고 회원 등급별 포인트 적립 등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특히 빗썸은 2024년과 2025년 동안 고객 등급제 기반의 ‘멤버십 리워드 프로그램’에 1,216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는 별도로 업비트는 지난해 11월부터 두 달간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기념해 약 22억 원 규모의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각 거래소의 마케팅 지출 금액에는 큰 차이가 있으나, 고객들이 실제로 부담하는 평균 거래 수수료율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조사 기간 동안 코인원이 0.05%로 가장 높았고, 업비트와 빗썸은 0.04%, 코빗은 0.02%, 고팍스는 0.01%의 수수료를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거래소 간 수익 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은 가운데, 마케팅 비용이 경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헌승 의원은 이러한 경쟁이 ‘출혈 경쟁’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과도한 이벤트 비용이 거래소의 재무 건전성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시장 전체의 신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경고는 금융당국이 보다 적극적인 섭외와 감시에 나서야 한다는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쟁의 과열 양상은 향후 가상자산 시장에서 거래소 간의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 거래소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구조로 내몰릴 수 있으며, 결국 대형 거래소 중심의 시장 재편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감독 당국의 역할과 규제 기준의 마련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