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로스(SAROS)가 하루 만에 100% 이상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 토큰은 전날 발생한 ‘플래시 크래시’ 이후 24시간 기준 103% 상승하여 0.34달러(약 473원)까지 회복했다. 이러한 급등은 같은 기간 암호화폐 시장 전체가 약세를 보이며 시가총액이 3% 감소한 3.9조 달러(약 5,421조 원)인 상황에서 이루어져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로스의 주간 실적은 -11%로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이달 초에는 0.42달러(약 584원)로 기록된 고점을 지나, 현재는 이전 수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프라이스 액션 분석에 따르면, 이번 반등은 고레버리지 포지션의 청산으로 인한 유동성 붕괴를 배경으로 한 전형적인 ‘위크’ 현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실제 하루 거래량은 1억 700만 달러(약 1,487억 원)을 초과해 평소보다 현저히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사로스 측에서는 이번 상황이 시장 조정의 일환으로, 내부자 매도나 자금 유출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개발팀은 공식 성명을 통해 “중앙화 거래소에서의 대규모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으로 초기 급락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자사의 재무나 장기 파트너 물량은 일절 판매되지 않았고,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로스는 솔라나(Solana) 생태계의 유동성 허브로서의 개발 방향에 집중할 것임을 강조했다.
기술적 지표를 살펴보면, 사로스는 현재 회복과 추가 하락 사이의 결정적 기로에 서 있다. 네할(Nehal) 분석가는 “현재 약세 압력이 강하고 매도 신호가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0.38달러(약 528원)를 중심으로 한 저항선이 명확하며, 만약 반등이 실패할 경우 0.20달러(약 278원)까지의 조정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현재 사로스는 일봉 차트에서 볼린저밴드 하단인 0.35달러(약 486원) 이하에 위치하고 있어 투자 심리는 위축된 상황이다. 자금 흐름 지수(MFI)는 21로 극단적 과매도 구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반등의 여지는 있지만 거래량 감소나 밴드 회복의 실패가 있을 경우 추가 하락 가능性도 배제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시장에서의 상황은 상대적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사로스가 시장 반등의 기회가 될지, 아니면 추가적인 하락의 출발점이 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투자자들은 다시금 0.38달러(약 528원)를 돌파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단기적인 기술적 회복세가 지속될지를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