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핵보유국 파키스탄과 상호 방위 조약 체결 – 미국 의존도 감소

[email protected]



사우디아라비아가 9월 17일(현지시간) 파키스탄과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양국 중 어느 한쪽이 외부 공격을 받을 경우 상호 지원할 것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이는 중동과 남아시아 지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파키스탄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조약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파키스탄은 이슬람 국가 중 유일하게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로서, 그 힘을 통해 사우디에 대한 핵우산을 제공하게 된다.

사우디는 그동안 미국에 크게 의존해 왔던 국방 체계를 재편하고 있으며, 파키스탄과의 조약 체결을 통해 자주성을 높이려는 목적이 크다. 파키스탄에는 약 250만명의 사우디 노동자가 있으며 이들의 송금은 파키스탄 경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과거 사우디는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에 지원을 해왔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상호 방위 조약의 체결은 사우디가 간접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는 효과를 낳는다.

이스라엘의 최근 카타르 공습은 사우디가 파키스탄과의 방위 조약을 맺은 주요 배경 중 하나다. 이스라엘의 군사적 행동은 중동 국가들 사이에서 미국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켰고, 그로 인해 각국은 자국의 안보를 스스로 챙겨야 한다는 결단을 내리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파키스탄의 핵우산 제공은 사우디에게 이스라엘과 군사적 균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미국과 중국 간의 미묘한 외교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파키스탄은 중국과 깊은 군사적 협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우디와의 조합은 중동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할 수도 있다. 파키스탄의 전투기는 중국에서 공급된 장비를 활용하여 인도와의 공중전에서 성공을 거두는 등, 그 군사력을 중국과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발전시킨 바 있다.

이처럼 북미 지역에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파키스탄과 사우디의 협력은 중동 지역의 정세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사우디의 독자적 군사 정책 수립이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더해 중동의 관계가 단순히 친미와 반미로 나눌 수 없는 복잡한 상황으로 변모하고 있어 이 지역의 외교적 긴장은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사우디와 파키스탄 간의 상호 방위 조약 체결은 새로운 국제 질서의 변화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각국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독자적인 판단을 내리는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또한 세계 각국이 기존의 동맹 관계를 재고할 필요성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