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거래처에 사과를 해야 할 때 필수적으로 챙기는 과자가 있다. 바로 도쿄의 전통 과자점 신쇼도에서 만드는 ‘할복 모나카’다. 이 과자는 큰 팥소가 찹쌀 피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종종 송구스러운 마음을 표현하는 간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할복 모나카는 일본의 전통 화과자 중 하나인 모나카로, 바삭한 찹쌀 피 속에 팥소를 얹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신쇼도의 할복 모나카는 그 모양이 특별하다. 팥소가 넘치는 형태로, 고객들이 사과의 마음을 전달하기에 효과적인 비주얼을 자랑한다.
신쇼도는 1912년에 창립되어, 4대에 걸쳐 전통을 이어온 과자점이다. 이 과자는 1990년대에 신쇼도 3대 주인인 와타나베 히사 전 사장이 만들어낸 것으로, 일본 역사 속 ‘아코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제품이다. 아코 사건은 에도 시대 1701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아사노 나가노리 영주가 천황의 사신 앞에서 모욕을 당하자 분노하여 칼을 뽑고 할복하게 되는 비극적인 사건이다. 이 사건에서 그의 부하 무사들은 복수를 하게 되고, 이는 일본에서 무사도의 이상을 기리는 전설로 남았다.
할복 모나카는 초기에는 소비자들로부터 큰 반대를 받았다. 신쇼도의 직원들과 가족, 소비자 설문조사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와타나베 전 사장의 고집으로 출시가 되었다. 처음 판매 성적은 저조했지만, 뜻밖의 경로로 유명세를 탈 수 있었다. 한 증권사 직원이 잘못된 주식 추천으로 손해를 끼친 후, 사죄의 표시로 할복 모나카를 구입하면서 이 과자는 미디어에 소개되었고, 이후 급속히 ‘사과용 선물’로 인기를 끌게 되었다.
와타나베 전 사장은 “할복 모나카가 성공한 이유는 사람들이 웃으며 사과할 수 있는 아이템이라는 점”이라며,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는 일본 특유의 선물 문화인 ‘오미야게’와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일본에서 사죄를 표현할 때 흔히 사용하는 선물로는 할복 모나카와 고급 양갱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은 가격대가 4000엔에서 6000엔에 이르는 고급 화과자로 구성된다.
일본의 사죄용 선물 문화는 꽤 독특하다. 비즈니스 관계에서 사과의 마음을 전할 때, 선물을 꼭 챙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오미야게’는 상대방에게 감사와 사과, 양해를 구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기업들은 주로 고급 화과자를 선택한다. 이러한 문화를 반영하여, 일본의 주요 백화점에서는 사죄용 화과자 코너를 따로 마련하고 있다.
결국 할복 모나카는 일본의 전통 과자에 현대적인 의미를 부여한 예로, 사람들에게 사과의 메시지를 앞장서 전하는 상징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같이 일본의 독특한 문화에서 비롯된 할복 모나카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문화적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