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 시대에 생성된 지갑 주소가 약 13년 만에 활동을 재개하여 시장이 놀라움에 휩싸이고 있다. 해당 지갑은 2012년 이후로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약 479 BTC(현재 시세 기준 약 753억 원)가 이전되면서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블록체인 트랜잭션 분석 서비스인 웨일얼럿(Whale Alert) 에 따르면, 이 비트코인의 소유자는 초기 테스트용으로 추정되는 두 건의 소액 거래를 실시하였다. 각각 0.24998803 BTC와 0.00039728 BTC가 다른 두 개의 익명 지갑으로 전송되었으며, 이는 해당 지갑 소유자가 시장에 진입할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이들 비트코인은 2012년 당시 매수 가격이 5,748달러(약 799만 원)였고, 현재 가치는 무려 936배 상승하여 약 753억 원의 수익을 기록했다. 이는 비트코인 장기 보유 전략이 얼마나 높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러한 급등은 시장에서의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와 관심이 여전히 건재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관 투자 자금의 유입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은 9월 3일 하루 동안 현물 비트코인 ETF에 총 2,933 BTC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는 약 3억 2,894만 달러(약 4,562억 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특히 피델리티의 위즈 오리진 비트코인 펀드(FBTC)는 이 가운데 1,157 BTC(약 1,800억 원)를 흡수하여 기관 수요의 깊이를 보여주었다. 블랙록과 아크인베스트 역시 각각 650 BTC(약 1,010억 원) 이상을 추가하며 시장에 대한 신뢰를 보였다.
반면, 이더리움(ETH) 기반 ETF에서는 49,829 ETH가 순유출되며 약 2억 2,249만 달러(약 3,091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특히 피델리티 ETF는 단독으로 23,365 ETH(약 1,448억 원) 이상을 매도하였으며,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향후 시장에 대한 전략을 비트코인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코인당 110,480달러(약 1억 5,362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 고점인 112,550달러(약 1억 5,643만 원) 대비 1.85% 하락한 수준이다. 이번 사토시 시대의 지갑의 놀라운 부활과 대규모 비트코인 ETF 자금 유입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변화는 장기 보유에 따른 막대한 수익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기관 중심의 자금 흐름이 재개되면서 비트코인이 시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에 귀추가 주목된다.